Web

HTTP 상태코드 302

KayEsQuo 2025. 7. 27. 14:23

 

상태코드 값을 보면 3xx, 5xx의 상태코드값을 한번씩 확인이 된다. 보통 200번 성공 또는 404 페이지 없음과 같은 것은 많이 볼수있었지만 300번대와 500번대는 흔치않다. 이번 글에서는 3xx대중 302에 대한 글을 작성해볼것이다.

 

 

스크린샷 화면

302 상태코드 헤더 정보

 

위는 302 상태값을 확인 할 수 있는 헤더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URL에는"naver.com" 으로 작성하여 접속했고, 이는 m.naver.com  으로 리다이렉트 시켜 지금의 화면으로 나타난것이다. 

(Response Headers > Location 을 통해 m.naver.com으로 이동한것을 확인)

 

 

동작 화면

WEB서버는 어떻게 302로 설정?

 

WEB서버는 아파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302의 상태값을 주기위해서는 리다이렉션 설정과 302상태값을 주는 설정이 필수다. Apache WEB은 Virtual-hosts에서 설정이 가능하고, 이는 response 응답을 줄 때 적용되는것으로 사용이 된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Apache Virtual-vhosts.conf 설정화면

<VirtualHost *:80>
    ServerName naver.com
    ServerAlias www.naver.com naver.com

    DocumentRoot "/var/www/html"

    # 302 Temporary Redirect
    Redirect 302 / https://m.naver.com/

    ErrorLog ${APACHE_LOG_DIR}/naver_error.log
    CustomLog ${APACHE_LOG_DIR}/naver_access.log combined
</VirtualHost>

 

 

만일 내가 naver.com을 운영할때 아파치를 이용했다면 위와 같이 설정하지 않았나 싶다.

 

 

정리글

302의 동작원리 및 웹서버 설정까지 알아봤다. reponse받는 주체는 이 글에서 WEB서버로 한정지었지만, 사이트별 외부 프록시와 같은 CDN, Nginx, Apache, 제우스 등등 많은 웹서버로 부터 받게 될것이다. 헤더값의 302를 확인하여 리다이렉트가 어떻게 되었는지 이 글을 통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