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LINUX 8

리눅스-RHEL 서버 시간 수동 설정법 date

RHEL 리눅스 서버 - date 명령어 정리예전 외주를 하면서 서버시간과 DB시간이 현재시간과 불일치하여 시스템 운영에 애를 먹는 일이 종종 생기긴 했음. 이토록 서버의 시간 설정은 로그 분석, 인증, 통신 등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줌. date명령어는 NTP와 같이 외부에서 표준으로 정한 시간을 받아오지 않고 당사자가 직접 설정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할거라 봄. 아래는 RHEL 계열 리눅스에서 date 명령어를 활용하여 시간 확인 및 수동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함.1. date - 현재 시스템 시간 확인$ date결과 예시:Tue Aug 6 14:00:15 KST 2025→ 시스템에 설정된 로컬 타임존 기준 시간 출력됨 (KST: Korea Standard T..

OS/LINUX 2025.08.06

리눅스-RHEL OpenSSH 사용편

목차SSH 명령 사용 기본 접속 상세 접속 공개키 기반 접속 원격 실행 ※ SSH 명령 사용원격 서버에 접속하거나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기본 도구가 ssh임.보통 리눅스/유닉스 환경에서 기본 제공되며, OpenSSH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음.서버 관리, 배포 자동화, 터널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함. 기본 접속ssh [사용자명]@[서버주소]ssh: Secure Shell 명령어. 원격 접속을 위한 클라이언트 도구[사용자명]: 접속할 원격 시스템의 계정 이름[서버주소]: IP 주소 또는 도메인 C:\Users\min19>ssh KaySeQuo@192.168.200.143KaySeQuo@192.168.200.143's password:Last login: Tue ..

OS/LINUX 2025.08.05

리눅스-RHEL OpenSSH 개념 & 원리

목차OpenSSH란? - 소개 - 기존 원격 접속 도구의 문제 - SSH의 필요성과 OpenSSH의 역할SSH 접속 - 공개키 기반 인증 – 사전 작업과 인증 원리 - 사전 작업 - 인증 원리 - SSH 접속시 동작 순서※ OpenSSH란?소개OpenSSH는 원격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SSH(Secure Shell) 프로토콜을 구현한 대표적인 오픈소스 도구임.OpenBSD 프로젝트에서 개발되었으며, BSD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배포되고 있음.기존 원격 접속 도구의 문제초기에는 telnet, rsh, rcp 같은 원격 접속 도구들이 주로 사용되었음.하지만 이들 도구는 **암호화 없이 평문(plain text)**으로 데이터를 전송했기 때문에 **패킷 스니핑(p..

OS/LINUX 2025.08.05

RHEL-CentOS 리눅스 디스크 관리 – 디스크 연결 인터페이스 방식

디스크 확인 – 소개글 리눅스 시스템에 새로운 디스크를 연결한 후에는, 단순히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음.시스템 커널이 해당 디스크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함.이 과정에서는 디스크 장치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해당 장치가 시스템에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디스크가 E-IDE, SATA, SCSI, SA-SCSI 등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인식되는 장치명과 경로가 달라지므로, 인터페이스 확인도 함께 이루어져야됨. 디스크 인터페이스 연결방식 비교 항목 E-IDE (PATA)SATA SCSI (Parallel)SA-SCSI (SAS)통신 방식병렬 (Parallel)직렬 (Serial)병렬 (Parallel)직렬 (Ser..

OS/LINUX 2025.08.04

리눅스 Systemd에 대해

1. Systemd란Systemd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부팅과 서비스 관리 등을 담당하는 init 시스템임. PID 1번을 차지하고 부팅 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임.기존 SysVinit을 대체함서비스, 초기화 스크립트, 로깅(journald), 소켓, 타이머 등 통합 관리함하나의 도구로 시스템 전체 상태를 제어할 수 있음기존 init 시스템은 순차 실행이라 느렸지만, systemd는 병렬로 서비스 실행 가능해서 부팅 속도 빠름. 2. Systemd 특징시스템 스냅샷 지원: 현재 상태 저장 후 복원 가능CGroup 관리: 서비스별 리소스(CPU, 메모리 등) 제어 가능빠른 셧다운: 실행 중인 서비스만 정리해서 시스템 종료 빨라짐서비스 타임아웃: 정해진 시간 안에 시작 안 하면 실패로 처리함소켓 기반 ..

OS/LINUX 2025.08.04

RHEL-CentOS 리눅스 디스크 관리 – 기본 구조부터 이해하기

리눅스 디스크 관리 – 기본 구조부터 이해하기들어가며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디스크 관리는 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디스크는 단순히 저장 공간 그 이상으로,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디스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 개념들을 설명합니다. 1.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와 논리적 구조1.1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섹터(Sector):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작은 단위. 일반적으로 1섹터의 크기는 512Byte트랙(Track): 섹터가 모여 하나의 원을 구성함. 플래터 내에 여러개의 트랙이 존재.실린더(Cylinder): 동일 반경의 트랙들이 위에서 아래로 쌓인 구조.플래터(Platter): 실제 자성 디스크 한 장. 여..

OS/LINUX 2025.08.03

RPM(Redhat Package Manager)을 이용한 패키지 관리 RHEL

RPM은 패키지 관리하는 도구로서, 소프트웨어 설치를 할 수 있도록 레드햇에서 개발한 방식임.최근은 의존성을 알아서 책임져주는 YUM 패키지를 사용함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YUM패키지 설치시 RPM패키지들이 설치되고 활용되는 상황이어서 RPM패키지를 확인하는법도 중요하다. RPM 패키지 파일형식은 아래와 같음.sample-1.0.0-40.e17.centos.x86_64.rpm 구성 요소의미 sample패키지 이름 – 해당 패키지의 이름 (예: sample)1.0.0버전(Version) – 소프트웨어의 버전 (예: 1.0.0)1릴리즈 번호(Release) –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의 버전이 명시x86_64아키텍처(Architecture) – 지원하는 CPU 아키텍처의 정보 64비트..

OS/LINUX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