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 2

RHEL-CentOS 리눅스 디스크 관리 – 디스크 연결 인터페이스 방식

디스크 확인 – 소개글 리눅스 시스템에 새로운 디스크를 연결한 후에는, 단순히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음.시스템 커널이 해당 디스크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함.이 과정에서는 디스크 장치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해당 장치가 시스템에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디스크가 E-IDE, SATA, SCSI, SA-SCSI 등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인식되는 장치명과 경로가 달라지므로, 인터페이스 확인도 함께 이루어져야됨. 디스크 인터페이스 연결방식 비교 항목 E-IDE (PATA)SATA SCSI (Parallel)SA-SCSI (SAS)통신 방식병렬 (Parallel)직렬 (Serial)병렬 (Parallel)직렬 (Ser..

OS/LINUX 2025.08.04

RHEL-CentOS 리눅스 디스크 관리 – 기본 구조부터 이해하기

리눅스 디스크 관리 – 기본 구조부터 이해하기들어가며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디스크 관리는 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디스크는 단순히 저장 공간 그 이상으로,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디스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 개념들을 설명합니다. 1.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와 논리적 구조1.1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섹터(Sector):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작은 단위. 일반적으로 1섹터의 크기는 512Byte트랙(Track): 섹터가 모여 하나의 원을 구성함. 플래터 내에 여러개의 트랙이 존재.실린더(Cylinder): 동일 반경의 트랙들이 위에서 아래로 쌓인 구조.플래터(Platter): 실제 자성 디스크 한 장. 여..

OS/LINUX 2025.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