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스크 관리 – 기본 구조부터 이해하기
들어가며
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디스크 관리는 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디스크는 단순히 저장 공간 그 이상으로,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디스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 개념들을 설명합니다.
1.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와 논리적 구조
1.1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
- 섹터(Sector):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작은 단위. 일반적으로 1섹터의 크기는 512Byte
- 트랙(Track): 섹터가 모여 하나의 원을 구성함. 플래터 내에 여러개의 트랙이 존재.
- 실린더(Cylinder): 동일 반경의 트랙들이 위에서 아래로 쌓인 구조.
- 플래터(Platter): 실제 자성 디스크 한 장. 여러 개의 플래터로 구성된 하드디스크도 있음.
1.2 디스크의 논리적 구조
- MBR (Master Boot Record): 디스크의 첫 번째 512바이트. 파티션 테이블과 부트 로더가 저장됨. 최대 2TB까지만 지원, 파티션 4개까지. MBR 파티션은 섹터의 주소를 4 Byte로 저장함으로 주소가 나타낼 수 있는 디스크의 최대 크기는 2TB임.
- 512 Byte(1개 섹터 크기) * 4 Byte(섹터의 주소) = 2TB(총 섹터의 크기)
- GPT (GUID Partition Table): 차세대 파티션 구조. 이론상 8ZB까지 지원. 섹터 주소를 64bit로 저장함. 파티션 테이블 개속가 128개이고, 각 파티션 테이블 당 128 Byte씩을 사용.
2. 디스크의 파티션 구성
2.1 MBR 방식
- 주 파티션(Primary Partition): 최대 4개까지 가능.
- 확장 파티션(Extended Partition): 주 파티션 대신 하나 생성하여 논리 파티션을 여러 개 만들 수 있음.
2.2 GPT 방식
- GUID 기반의 식별자 사용.
- 백업 파티션 테이블 존재 (디스크 마지막에 위치).
- EFI 시스템에서 사용 필수.
3. 리눅스에서 디스크 확인과 관리
명령어 | 설명 | 예시 |
---|---|---|
lsblk | 블록 디바이스 목록 출력 | lsblk |
fdisk -l | 파티션 테이블 확인 (MBR 기반) | sudo fdisk -l |
parted | GPT 디스크 파티션 관리 | sudo parted /dev/sda |
blkid | UUID, 타입 정보 확인 | blkid |
df -h | 마운트된 파일시스템 용량 확인 | df -h |
다음글..
디스크의 구조를 알아봤으니, 다음글로 디스크 인터페이스 연결방식에 대한 글을 다뤘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 디스크를 연결부터 인식까지의 과정과 인터페이스별 특징을 확인가능합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RHEL OpenSSH 개념 & 원리 (2) | 2025.08.05 |
---|---|
RHEL-CentOS 리눅스 디스크 관리 – 디스크 연결 인터페이스 방식 (2) | 2025.08.04 |
리눅스 Systemd에 대해 (1) | 2025.08.04 |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 패키지 정보 확인 RHEL (2) | 2025.07.31 |
RPM(Redhat Package Manager)을 이용한 패키지 관리 RHEL (1) | 202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