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LINUX

리눅스-RHEL 서버 시간 수동 설정법 date

KayEsQuo 2025. 8. 6. 08:44

RHEL 리눅스 서버 - date 명령어 정리

예전 외주를 하면서 서버시간과 DB시간이 현재시간과 불일치하여 시스템 운영에 애를 먹는 일이 종종 생기긴 했음. 이토록 서버의 시간 설정은 로그 분석, 인증, 통신 등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줌. date명령어는 NTP와 같이 외부에서 표준으로 정한 시간을 받아오지 않고 당사자가 직접 설정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할거라 봄. 아래는 RHEL 계열 리눅스에서 date 명령어를 활용하여 시간 확인 및 수동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함.


1. date - 현재 시스템 시간 확인

$ date

결과 예시:

Tue Aug  6 14:00:15 KST 2025

→ 시스템에 설정된 로컬 타임존 기준 시간 출력됨 (KST: Korea Standard Time)


2. date --utc 또는 date -u - UTC 시간 확인

$ date --utc
# 또는
$ date -u

결과 예시:

Tue Aug  6 05:00:15 UTC 2025

→ UTC는 협정 세계시로, KST보다 9시간 느림. 서버 간 로그 비교 시 유용함.


3. date --set - 문자열 기반 시간 수동 설정

$ sudo date --set="2025-08-06 15:30:00"

형식 설명:

  • YYYY-MM-DD HH:MM:SS: 날짜와 시간 동시 설정
  • HH:MM:SS: 시간만 설정
  • YYYY-MM-DD: 날짜만 설정

예시:

$ sudo date --set="2025-08-06"
$ sudo date --set="15:30:00"

주의: date로 시간만 변경하면 재부팅 후 원래대로 돌아갈 수 있음.
하드웨어 시계 동기화도 함께 수행해야 함:

$ sudo hwclock --systohc

 

 

4. 숫자형 입력 방식 (MMDDhhmm[[CC]YY][.ss])

$ sudo date 080615452025.00

→ 2025년 8월 6일 15시 45분 00초로 설정됨

  • MM: 월 (08)
  • DD: 일 (06)
  • hh: 시 (15)
  • mm: 분 (45)
  • CC: 세기 (20 → 2000년대)
  • YY: 연도 (25 → 2025)
  • .ss: 초 (00)

→ 숫자형 입력은 스크립트 등에서 활용하기 편리함


📌 명령어 요약표

명령어 기능 예시
date 현재 로컬 시간 확인 date
date --utc UTC 시간 확인 date -u
date --set 문자열로 시간 설정 date --set="2025-08-06 14:20:00"
date 숫자 숫자 입력 방식으로 시간 설정 date 080614302025.00

마무리

date 명령어는 단순 시간 확인부터 수동 설정까지 폭넓게 사용 가능함. 운영 환경에서는 chronyd 또는 ntpd를 통해 자동 동기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테스트 환경이나 장애 복구 시에는 수동 설정이 반드시 필요할 수 있음.

추후 timedatectl 명령어나 NTP 설정까지 다루는 포스트로 확장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