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SH 명령 사용
기본 접속
상세 접속
공개키 기반 접속
원격 실행
※ SSH 명령 사용
원격 서버에 접속하거나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기본 도구가 ssh임.
보통 리눅스/유닉스 환경에서 기본 제공되며, OpenSSH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음.
서버 관리, 배포 자동화, 터널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함.
기본 접속
ssh [사용자명]@[서버주소]
- ssh: Secure Shell 명령어. 원격 접속을 위한 클라이언트 도구
- [사용자명]: 접속할 원격 시스템의 계정 이름
- [서버주소]: IP 주소 또는 도메인
C:\Users\min19>ssh KaySeQuo@192.168.200.143
KaySeQuo@192.168.200.143's password:
Last login: Tue Aug 5 21:30:37 2025 from 192.168.200.122
KaySeQuo@localhost:~$
상세 접속
ssh -v [사용자명]@[서버주소]
-v 옵션: 디버깅용 상세 출력으로 verbose 모드를 의미함.
SSH 접속 과정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단계별로 상세하게 출력해줌
SSH 접속이 안 될 때 무엇 때문에 실패했는지 디버깅할 때 사용함
-vv 또는 -vvv로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음.
- 예: 키 인증 실패, 호스트키 검증 문제, 포트 차단 여부 확인 등
공개키 기반 접속
SSH는 비밀번호 없이도 접속할 수 있도록 공개키 기반 인증을 지원함.
그 중 -i 옵션은 사용할 개인키 파일을 지정할 때 사용함.
ssh -i ~/.ssh/id_rsa user@host
-i : 개인키(private Key) 경로 지정
~/.ssh/id_rsa: 사용자가 생성한 개인키 파일
user: 접속할 원격 서버의 계정
host: 원격 서버 ip주소 또는 도메인
옵션 | 설명 |
-p | 포트 번호 지정 |
-i | 개인키 파일 지정 |
-v | verbose 출력 (디버깅용) |
※ 원격 실행
ssh [사용자명]@[서버주소] "명령어"
이 형식은 원격 서버에 로그인해서 특정 명령어만 실행하고 결과를 받아온 뒤 바로 연결 종료하는 용도임.즉, ssh 명령어와 원격 쉘 커맨드를 한 줄로 처리함.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RHEL 서버 시간 수동 설정법 date (8) | 2025.08.06 |
---|---|
리눅스-RHEL OpenSSH 개념 & 원리 (2) | 2025.08.05 |
RHEL-CentOS 리눅스 디스크 관리 – 디스크 연결 인터페이스 방식 (2) | 2025.08.04 |
리눅스 Systemd에 대해 (2) | 2025.08.04 |
RHEL-CentOS 리눅스 디스크 관리 – 기본 구조부터 이해하기 (1) | 202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