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4

RPM(Redhat Package Manager)을 이용한 패키지 관리 RHEL

RPM은 패키지 관리하는 도구로서, 소프트웨어 설치를 할 수 있도록 레드햇에서 개발한 방식임.최근은 의존성을 알아서 책임져주는 YUM 패키지를 사용함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YUM패키지 설치시 RPM패키지들이 설치되고 활용되는 상황이어서 RPM패키지를 확인하는법도 중요하다. RPM 패키지 파일형식은 아래와 같음.sample-1.0.0-40.e17.centos.x86_64.rpm 구성 요소의미 sample패키지 이름 – 해당 패키지의 이름 (예: sample)1.0.0버전(Version) – 소프트웨어의 버전 (예: 1.0.0)1릴리즈 번호(Release) –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의 버전이 명시x86_64아키텍처(Architecture) – 지원하는 CPU 아키텍처의 정보 64비트..

OS/LINUX 2025.07.31

HTTP 상태코드 302

상태코드 값을 보면 3xx, 5xx의 상태코드값을 한번씩 확인이 된다. 보통 200번 성공 또는 404 페이지 없음과 같은 것은 많이 볼수있었지만 300번대와 500번대는 흔치않다. 이번 글에서는 3xx대중 302에 대한 글을 작성해볼것이다. 스크린샷 화면 위는 302 상태값을 확인 할 수 있는 헤더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URL에는"naver.com" 으로 작성하여 접속했고, 이는 m.naver.com 으로 리다이렉트 시켜 지금의 화면으로 나타난것이다. (Response Headers > Location 을 통해 m.naver.com으로 이동한것을 확인) 동작 화면WEB서버는 어떻게 302로 설정? WEB서버는 아파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302의 상태값을 주기위해서는 리다이렉션 설정..

Web 2025.07.27

스프링 프레임워크 "다양한 빈 등록 방법"

개요이번 글에서는 김영한 스프링 핵심원리의 다음 강의에 대한글을 작성하려합니다. "다양한 설정 형식 지원 - 자바 코드, XML" 입사 초기 스프링 기반 시스템을 분석해야 할 일이 있었는데, 톰캣이 처음 실행될 때 어떤 설정을 참고하고, 스프링이 어떻게 초기화되는지가 가장 궁금했었습니다. 이를 분석하고자 설정파일을 찾아봤지만, 다양한 .xml, .class 파일들이 설정에 사용되는 모습을 보면서 혼란스러웠습니다. 그러던 중 강의 수강하며 스프링은 단일 방식이 아닌, 다양한 설정 형식을 유연하게 지원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특히 아래 그림처럼 ApplicationContext가 어떤 설정 파일을 읽어들이는지에 따라 컨테이너가 달라진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BeanFactory를 기반으로 다양한..

카테고리 없음 2025.07.04